A 
 B 
 C 
 D 
 E 
 F 
 G 
 H 
 I 
 J 
 K 
 L 
체크 M 
 N 
 O 
 P 
 Q 
 R 
 S 
 T 
 U 
 V 
 W 
 X 
 Y 
 Z 
어제 : 1,039, 오늘 : 1,026, 전체 : 322,796
 
작성일 : 19-12-23 22:14
Marvin Gaye (마빈 게이)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268  



Marvin Gaye (마빈 게이)

 

 
'모타운(Motown) 가의 황태자' 마빈 게이의 보컬엔 감히 범접할 수 없는 아우라가 느껴진다. 냇 킹 콜과 프랭크 시나트라의 달콤한 크루닝(crooning) 창법과 샘 쿡의 호소력 짙은 가스펠의 기운을 온전히 흡수한 그는 카리스마가 느껴지는 보컬로 창조해내며 청중들을 흥분시켰다. 기운이 서려있는 듯한 그의 보컬은 '보컬 연주의 대가'라는 영광스런 칭호에 어울린다.

그의 사후 등장한 수많은 소울 팝 가수들은 모두 그의 보컬에 영향받았음을 인정하며 그의 음악성에 아낌없는 찬사를 보냈다. 하지만 그의 영향력은 단지 탁월한 창법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그는 록음악 역사에 있어 '뜨거운 감자'와도 같은 '아티스트의 창작의 자유'를 얻기 위한 투쟁을 몸소 실천한 음악인이라는 점에서 그를 더욱 기억하게 한다.

70년대가 되기 전 만해도 밤낮으로 사랑과 낭만만을 얘기하며 소일하던 모타운식 소울 음악은 당시 대다수 흑인들이 공감해오던 '어두운 현실'엔 둔감했다. '팔리는 음악'을 원했던 회사측과의 마찰은 불가피 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음악'을 위한 신념을 굽히지 않았고, 이런 산고 끝에 록 역사를 대표하는 명반 <What's going on>(1971)은 탄생했다

소울 음악은 60년대 그가 소속되어있던 모타운 레코드사를 통해 보다 대중적인 음악 문법으로 자리 잡은데 이어, 그는 같은 회사 소속의 스티비 원더와 함께 미국 대도시 후미진 곳에서 벌어지는 '게토 리얼리티를' 자신의 노래에 담아냄으로써 소울이 '사회성'이란 화두를 본격적으로 끌어내는데 기여를 했다.

스티비 원더와 함께 그는 소위 후배 흑인 뮤지션들의 '대부'이다. 80년대 이스트 코스트 힙합의 분수령을 일군 퍼블릭 에너미(Public Enemy)의 프론트 맨 척 디(Chuck D)는 1988년도 명반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을 발표하며 롤링스톤지와 가졌던 인터뷰에서 '나는 이번 앨범에서 힙합의 <What's going on> 버전을 내놓고 싶었다' 라고 얘기할 정도로 마빈 게이의 유산을 이어받았다고 인정했다.

마빈 펜츠 게이 주니어라는 본명으로 1939년 4월 2일 워싱턴 디씨에서 태어난 그는 목사를 아버지로 둔 기독교 가정에서 어린시절을 보낸다. 하지만 다소 억압적인 가정환경은 그로 하여금 음악에 몰입하게 해 아버지 때문에 억눌린 영혼을 달래줄 위안이 된다.(어렸을 때부터 그는 아버지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고 한다)

고등학교 졸업 후 공군에 입대, 제대 후 고향으로 돌아와 그는 락 앤 롤 스타 보 디들리(Bo Didely)를 만나 그의 문하생이 된다. 1958년 두왑 그룹인 레인보우에 가입, 이듬해엔 시카고로 진출해 '문 그로우' 라는 두왑밴드에서 활동하며 체스(Chess) 레코드에서 그의 ct첫 싱글 'Mama roocie'를 녹음한다. 미국 전역 투어에 나선 문 그로우는 디트로이트에서 공연을 하게 되었고, 당시 그의 연주를 지켜보던 모타운의 설립자 베리 고디 주니어(Berry Gordy Jr.)는 3옥타브가 넘는 그의 탁월한 테너 창법에 매료되었다. 이를 계기로 그는 1961년 모타운과 전속 계약을 체결하며 베리 고디와 운명적인(?) 관계를 시작한다.

처음엔 세션 드러머로서 모타운의 일원이 된 그는 모타운 간판스타이자 작곡가인 스모키 로빈슨과 함께 활동한다. 1961년 그는 사장인 베리 고디의 누이인 안나와 결혼한다(무려 18살의 연상). 사장과 사돈관계가 된 덕에 회사측에 전폭적인 지원을 얻게 된 그는 이듬해 첫 싱글 'Stubborn kind of fellow'(1962)를 발표하고 흥겨운 댄스 팝 'Hitch hike'(1962)로 빌보드 Top 40에 진입하는 순조로운 출발을 보인다.

냇 킹 콜과 프랭크 시나트라의 크루닝 창법에 영향 받았던 그는 당시 격조 있는 발라드 음악을 원했지만, 회사 측은 그에게 흥겹게 흔들기 좋은 빠른 댄스 음악만을 요구했다. 큰 키에 수려한 용모를 지닌 덕에 유난히 여성 팬들이 많이 따랐던 그였지만, 무대에 올라 몸을 흔들며 청중들에게 즐거움을 줘야 한다는 것은 늘 못 마땅했다. 후에 그가 회고하길 '나는 무대에 나가 청중들 앞에서 내 엉덩이를 흔들어야 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했을 정도이니, 얼마 후 있을 회사 측과 창작권을 두고 생긴 갈등은 이미 데뷔 때부터 예견된 것이었다.

1960년대 내내 그는 모타운 사를 통해 꾸준히 히트곡을 발표했다. 'Pride & joy'(1963)로 처음 Top 10에 진출한 그는 잇달아 발표한 싱글 'How sweet it is'(1964), 'Aint that peculiar'(1965)을 Top 10에 진입시킨다. 솔로로서 확고한 입지를 다져갈 무렵 그는 모타운 소속의 실력 있는 디바들과 듀엣 곡을 많이 취입했는데, 메리 웰즈(Mary Wells)과 함께 한 'What's the matter with you baby'(1964)을 시작으로, 킴 웨스튼(Kim Weston)과 함께 한 'It takes two'(1966), 70년대 다이아나 로스(Diana Ross)와 함께 한 'My mistake is to love you'(1974)등이 대중적인 호응을 얻었다.

하지만 그와 가장 인상적인 호흡을 보여준 디바는 바로 타미 테렐(Tammi Terell)이었다. 그녀와 함께 했던 'Ain't no mountain high enough'(1966), 'Your precious love'(1967), 'Ain't nothing like the real thing'(1968), 'You're all I need to get by'(1968) 모두 Top 10에 진입시키는 성과를 거둔다. 하지만 '팝 역사상 가장 궁합이 잘 맞는 콤비'는 안타깝게도 타미 테렐의 요절로 인해 지속되지는 못했다.

그에게 첫 팝 차트 넘버원의 영광을 안겨준 'I heard it through grapevine'(1968)로 그의 인기전선은 절정에 다다랐다. 이듬해 'Too busy thinking about my baby'(1969), 'That's the way love is'(1969)를 Top 10에 진입시키며 인기는 더해갔지만, 이내 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만다.

데뷔 때부터 창작권을 두고 벌어진 회사 측과의 끈질긴 줄다리기는 무려 2년이라는 시간을 그에게 투쟁의 시간으로 만들었다. 달콤한 사랑타령으로 점철된 지금까지의 음악과는 다른, 자신이 내면에서 꿈틀거리는 무언가를 표출해보길 갈망했던 그는 '자신의 음악'을 얻기 위한 힘겨운 투쟁 끝에 결국 모타운 사의 백기를 받아내며 '음반 제작에 관한 모든 전권을 그에게 위임할 것'이라는 전리품을 얻어낸다.

흑인의 입장에서 아프로 아메리칸(Afro-America)의 비참한 현실을 늘 생각해왔던 그는 주저 없이 이런 자신의 고민을 음악 속에 녹여내는 작업을 했다. 흑인 빈곤문제, 실업, 월남전등, 70년대 초 그의 눈에 보인 흑인의 현실은 '참담함'이었다. 핑크빛 미래를 노래했던 발랄한 60년대의 흑인 음악은 슬라이& 페밀리 스톤(Sly & The Family Stone), 커티스 메이필드(Curtis Mayfield)등 기라성같은 흑인 뮤지션들에 의해 한층 진지하고 어두워져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그가 내놓은 것이 컨셉 앨범 <What's going on>(1971)이었다.

흑인 음악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내놓은 컨셉 앨범 <What's going on>은 회사 측에 우려에도 불구, 앨범 수록 곡 중 무려 4곡(What's going on, God is love, Mercy, mercy, me Inner city blues)이 Top 10에 진입하는 성과를 거뒀고, 앨범은 지금까지 8백만장이라는, 당시로선 경이적인 판매고를 올렸다. 스트링을 동원한 세련된 연주 편곡, 참회록을 쓰듯 스토리 텔링(Storytelling) 방식으로 진행되는 진솔한 자기 고백은 당시 소울음악에선 맛볼 수 없었던 신선한 충격이었다. 앨범 <What's going on>은 그의 음악 경력에 새로운 이정표가 되었다.

이 때부터 그의 음악성에도 뚜렷한 변화가 감지된다. 'Inner city blues'(1971)에서 목격했던 퍼커션의 가열 찬 울림은 70년대 흑인 음악의 대표 트렌드인 '펑키 사운드'로의 변화를 예고했고, 앨범으로는 발표 안 된 저주받은 싱글 'You 're the man pt. 1, 2'(1972)에선 가성, 두성, 진성 등 한층 다채로워진 그의 보컬 연기가 압권이다. 재즈에 대한 평소의 관심은 영화 음악 작곡으로도 이어져 노래보다 연주 쪽에 관심이 반영된 영화음악 앨범 <Trouble man>(1972)으로 이어진다.

<What's going on>의 여파가 채 가시기도 전, 그는 이전의 고뇌하는 흑인 지성임을 포기하고 이번엔 사랑의 세레나데를 부르는 사랑의 전령사로 변신한다. 그의 두 번째 넘버원을 안겨다 준 앨범<Let's get it on>(1973)은 '성 행위'를 찬미하는 노래들로 가득 찬 앨범으로 주변을 다시 한번 어리둥절하게 했다. 빌보드 No.1 곡인 'Let's get it on'은 그를 단번에 섹시 스타로 변모시켰고, 그가 앨범에서 얘기했던 '자연스러운 성의 표현 '은 80년대 들어 프린스나 조지 마이클같은 팝 스타들의 음악 세계로 계승된다.

하지만 그는 당시 첫 아내였던 안나와의 관계가 흔들리고 있었다. 재니스라는 여인과 이미 두 집 살림을 차려 아이까지 낳았던 그의 성적 편력은 결국 아내와의 별거로 이어졌고, 한동안 그 충격에 슬럼프에 빠져 마약으로 세월을 보내게 된다. 재기의 몸부림을 친 그는 베리 고디의 주선으로 만난 레온 웨어(Leon Ware)의 곡으로 채워진 앨범 <I want you>(1976)을 발표하지만, 수록곡 'I want you', 'After the dance'가 약간 주목을 받았을 뿐이었다.

히트곡에 목말라하던 그는 1977년 런던 팔라디움 구장에서의 콘서트 더블 실황 앨범<Live at the Palladium>을 발표하며, 13분이 넘는 디스코 곡 'Got to give up'을 수록하고, 4분대의 싱글로도 커팅, 그의 세 번째 넘버 원 싱글로 등극된다. 전형적인 댄스뮤직이었던 'Got to give up'은 팝 차트, 앨 앤 비 차트 1위를 석권하며 그에게 가수로서 회생의 길을 열어준다.

하지만 'Got to give up'의 기쁨도 잠시, 결국 그는 안나와 이혼을 하게 되고 ,이혼에 대한 위자료를 다음에 발표하는 앨범 인세로 한다는 합의를 보게 된다. 앨범 <Here, my dear>(1978)는 이런 배경에서 탄생했고 수록 곡 'When did you stop loving me, When did I stop loving you'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만남과 해어짐에 이르기까지 있었던 그의 뼈저린 고해성사는 아름다운 가사말과 편곡의 세련됨에도 불구, 이렇다할 히트 싱글 없이 앨범은 파묻히며 그의 디스코그래피 중 가장 안 알려진 앨범이 되고 말았다.(엎친데 덮친격으로 안나는 앨범 내용이 사생활 침해라며 소송을 걸기에 이른다.)

첫 번째 아내와의 이혼에 이어 다시 몇 년간은 그에게 혼란의 시기였다. 두 번째 아내였던 제니스와 급기야 파경에 이르렀고, <Love Man>(1979-발매 취소)과 <In our life time>(1981)의 흥행실패는 그를 더욱 마약으로 치닫게 했다. 급기야 그는 1981년 20년간 그에게 산전수전(?) 다 겪게 했던 모타운 사를 떠나, 하와이로 이주, 새로운 출발을 모색한다.

정확히 1년 후인 1982년, CBS 레코드와 전속 계약하며 그에겐 마지막 걸작으로 남게 된 <Midnight Love>(1982)를 발표한다. 'Let's get it on'에 버금갈만한 농염한 보컬이 인상적인 싱글 'Sexual healing'이 팝 차트 3위까지 오르며 그는 화려하게 재기한다. 공백기 동안대중들과의 소원함을 해소하기 위해 TV 출연 등 다시 활발한 활동을 벌인 그는 베리 고디와 함께 토크쇼에 출연해 둘의 악연(?)을 만회해보려고도 했고, NBA 농구 경기때 미국 국가를 소울 창법으로 불러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지미 헨드릭스가 우드스탁에서 연주했을 때 이후로 최대의 사건이었다.)

하지만 이런 그의 재기 의지는 이내 사그러들고 있었다. 이미 코케인에 찌들 때로 찌든 그의 몸은 말을 듣질 않았고 평소에 사이가 안 좋았던 목사인 아버지와의 관계는 조금도 나아질 조짐이 보이지 않았다. 결국 비극은 그의 아버지와의 사소한 말다툼에서 시작되고, 1984년 4월, 그의 45회 생일을 하루 앞둔 날, 심한 다툼 끝에 화를 가누지 못한 아버지가 쏜 총에 맞아 유명을 달리하고 만다.

그의 어이없는 죽음은 충격적이었다. 많은 흑인 뮤지션들은 그의 죽음을 애도했고, 이듬해인 1985년 모타운사와 CBS가 공동으로 그의 미 발표곡을 모은 <Dream of a life time>과 <Romantically Yours>를 내놓는다. 그에 대한 재평가도 활발히 이뤄져 <롤링스톤>을 비롯한 록 전문지들은 앞 다투어 그의 앨범 <What's going on>을 팝 역사에 남을 명반으로 추대하기 시작했고, 1987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그의 이름이 등재된다.